Statements
I seek to approach the essence of painting through the landscape. I think the landscape as a world full of things to be painted, where formal elements like shape and light-dark contrast are prominent. I treat the landscape as an experimental field for painting. By observing the landscape, painting it, and then looking at the landscape once it has become a painting, I expand my contemplation of the world.
I express the light and darkness, the contours and shadows of the landscape on a monochrome canvas. I call this technique “Black Landscape,” where I apply black oil paint as if sketching with pencil or charcoal. By repeating brushstrokes and layering them, I create a spectrum of grayscale. The color black itself becomes the subject of my exploration in painting, with its multiple layers of meaning.
The black landscape ranges from real places such as the mountains of Seoul and the oreum of Jeju, to the imaginary seas that are not tied to any specific location. The natural scenes that bridge the real and the imagined serve both as records of actual events and as an exploration of landscape as a painting motif. I depict landscapes like the volcanic cones, the sea, fire, and waves, focusing on the dual composition of the landscape.
Through overlapping different landscapes, I discover unexpected similarities that go beyond mere formal resemblance, incorporating their original nature and symbolism. I imagine a landscape that could be anywhere, yet is found nowhere. In this landscape, where information and specific locations disappear, only the formal elements and symbols remain. I paint a world filled with formal elements through the brushstrokes of grayscale that resemble the textures of waves or fields. As I observe the repeating brushstrokes, I think of the time of nature itself, and imagine a world where the boundaries between the real and the unreal, life and death, disappear. (November, 2024)
풍경을 통해 그림 그리기의 본질에 다가서고자 한다. 나에게 풍경은 형상과 명암과 같은 조형 요소가 두드러지는, 그릴 것으로 가득한 세계이다. 나는 풍경을 회화를 위한 실험대로 삼는다. 풍경을 바라보고, 그리고, 다시 그림이 된 풍경을 바라봄으로써 세계를 향한 사유를 확장한다.
나는 풍경의 빛과 어두움, 윤곽과 그림자를 무채색의 화면으로 표현한다. 캔버스에 검은 유채를 소묘하듯 엷게 채색한 표현을 ‘검은 풍경’이라 부른다. 유채를 연필 또는 목탄을 다루듯 대하며 붓질을 반복하여 쌓아 무채색의 스펙트럼을 만든다. 검은색은 다층적 의미를 지닌 회화 탐구의 대상 자체이다.
검은 풍경은 서울의 산과 제주의 오름과 같은 현실의 장소에서부터 불특정한 상상의 바다에 이른다. 실제와 가상을 아우르는 자연 정경은 현실의 사건에 대한 기록이자 풍경이라는 회화 제재에 대한 탐구이다. 나는 오름과 바다의 풍경, 불꽃과 파도 등 원소 이미지를 묘사하며, 풍경의 이원적 구도에 주목한다. 서로 다른 풍경을 겹쳐보며 발견한 의외의 닮음은 조형적 유사성을 넘어 본래의 성질과 상징을 포함한다.
나는 어디에나 있을 법하지만, 어디에도 없는 풍경을 상상한다. 정보와 장소성이 사라진 풍경에는 오로지 조형 요소와 상징만이 남는다. 파도와 들판의 결을 닮은 무채색의 붓질을 통해 조형 요소로 가득한 세계를 구축한다. 이때 반복되는 붓질처럼 무한히 되풀이되는 풍경의 질감과 리듬을 보며 자연의 시간을 떠올리고, 나아가 현실과 비현실, 삶과 죽음의 경계가 사라진 세계를 상상한다. (2024.11.)


I depict landscape using black oil color. Landscapes serve as an experimental ground to explore monochromatic hues, shapes, and elements of light and shadow. Observing mountains and seas, water and fire, light and shadow, I discover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ir forms. Landscapes are a fragment of reality reflecting the world. By observing landscapes, drawing them, and then looking at the landscape which is represented, I expand my contemplation towards the world. The contemplation of landscapes awakens a sense that transcends time. Late-night rivers exhibit subtle changes every day, rugged hills accumulate and forget memories and the repetition of history, while vast seas reveal the infinite cycles of nature. When I feel the immense flow of time within the landscape before me, I often experience a connection betwee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It's the indeterminate and infinite time of nature where past, present, and future overlap. Landscapes in artworks extend from everyday places to somewhere in the sea. The landscape, whose time flows through it, serves as a metaphor for the repetition and cycle of nature. It's an archetype of landscapes where the boundaries between reality and unreality, life and death, disappear. (March, 2023)검은 유채로 소묘하듯 풍경을 그린다. 풍경은 무채색의 색채와 형상, 명암의 조형 요소를 탐구하기 위한 실험대이다. 산과 바다, 물과 불, 빛과 그림자를 바라보며 서로 다른 형상의 닮음과 다름을 발견한다. 풍경은 세계를 반영하는 현실의 한 단면이다. 바라보고, 그리고, 다시 그림이 된 풍경을 바라봄으로써 세계를 향한 사유를 확장한다. 풍경의 사유는 시간을 초월하는 감각을 일깨운다. 늦은 밤의 하천은 매일의 미묘한 변화를, 거친 오름은 쌓이고 잊히는 기억과 역사의 반복을, 거대한 바다는 자연의 무한한 순환을 발견하게 한다. 이처럼 눈앞의 자연 정경을 마주하며 풍경에 흐르는 거대한 시간의 흐름을 느낄 때, 과거, 나아가 미래와 연결되는 경험을 하곤 한다. 이는 과거와 현재, 미래가 중첩되는 불특정하고 무한한 자연의 시간이다. 작품 속 풍경은 일상 주위의 장소에서부터 어딘가의 바다에 이른다. 언제, 어디인지 알 수 없는 풍경은 시간의 반복과 순환을 거듭하는 자연에 대한 은유이자, 현실과 비현실, 삶과 죽음의 경계가 사라진 풍경의 원형archetype이다. (2023. 3.)
©2024 Kang Youjeong